research:rsync
문서의 이전 판입니다!
rsync
집에 있으면서 위키를 작성할 때나 데이터의 사본을 만들고 싶을 때 rsync를 사용해 보자!
사용법은 무척 간단하다.
rsync [옵션] [원본] [대상]
옵션
- -v 잡다한 메시지 출력
- -q 조용하게
- -a 아카이브 모드. -rlptgoD 와 같다.
- r: 재귀
- l: 심볼릭 링크 따라감
- p: 파일 권한 보존
- t: 수정일자 유지
- g: 그룹 정보 유지
- o: 소유자 정보 유지
- D: 이 옵션은 수퍼 유저일 때만 동작한다. 복사하는 파일이 블록 디바이스나 캐릭터 디바이스일 경우 대상지에서도 생성되도록 한다.
- -r 재귀적 동작
- -u 업데이트. 대상쪽의 더 새로운 파일은 스킵.
- -l 심볼릭 링크를 따라 간다.
- -p 파일 권한을 유지한다.
- -o 소유자 정보를 유지한다.
- -g 그룹 정보를 유지한다.
- -t 수정 일자 유지
- -n 드라이-런 (실제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음)
- -z 파일 이동중 압축
사용 예
내 MiniServer에서 로컬쪽으로 데이터를 끌어오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.
rsync -zva changwoo@192.168.0.250:/home/changwoo/public_html/dokuwiki ~/public_html/
정기적으로 백업하기
리눅스 데스크탑에서 대략 1시간 간격으로 계속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 이렇게 한다. 우선 미니서버에 암호 없이 들어갈 수 있도록 키를 넘긴다. 그리고 다음과 같은 쉘 스트립트를 작성한다.
- dokuwiki_rsync
#!/bin/bash RSYNC=/usr/bin/rsync OPT="-vuog --progress" LOCAL=/home/changwoo/public_html/dokuwiki/ REMOTE=changwoo@MiniServer:/home/changwoo/public_html/dokuwiki/ echo "LOCAL >> REMOTE" $RSYNC $OPT $LOCAL $REMOTE echo "REMOTE >> LOCAL" $RSYNC $OPT $REMOTE $LOCAL
External Links
research/rsync.1393305420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14/10/09 21:23 (바깥 편집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