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project:youtubedownload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이전 판
다음 판양쪽 다음 판
project:youtubedownload [2013/02/14 23:13] – [왜 막지 않을까?] 127.0.0.1project:youtubedownload [2013/02/14 23:19] – [스트림 맵 분석하기] 127.0.0.1
줄 102: 줄 102:
 여기서는 ''url_encoded_fmt_stream_map''의 값을 일컬어 '스트림 맵'이라고 부르겠습니다. 스트림 맵의 생짜 값(raw value)은 상당히 긴 문자열인데, 바로 여기에 우리가 원하는 동영상의 실제 주소가 숨겨져 있습니다. 이 문자열은 CSV 형태로 되어 있고, 각 필드의 값은 urlencode가 되어 있습니다. 일단 콤마(,)를 기준으로 문자열 분리를 해야 올바르게 하나의 의미를 가진 덩어리를 나눌 수 있습니다. 우선 당장 프로그래밍을 들이대지 말고 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해 차근차근 손으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 여기서는 ''url_encoded_fmt_stream_map''의 값을 일컬어 '스트림 맵'이라고 부르겠습니다. 스트림 맵의 생짜 값(raw value)은 상당히 긴 문자열인데, 바로 여기에 우리가 원하는 동영상의 실제 주소가 숨겨져 있습니다. 이 문자열은 CSV 형태로 되어 있고, 각 필드의 값은 urlencode가 되어 있습니다. 일단 콤마(,)를 기준으로 문자열 분리를 해야 올바르게 하나의 의미를 가진 덩어리를 나눌 수 있습니다. 우선 당장 프로그래밍을 들이대지 말고 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해 차근차근 손으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  
-스트림 맵을 텍스트 편집기로 분석해 콤마 문자열을 하나 검색합니다. 처음 발견된 콤마를 기준으로 공백을 입력해 값을 두 덩어리로 떼어 냅니다. 추출해 낸 작은 덩어리의 처음은 ''itag=XX%%\u0026%%sig=XXX...'' 와 같이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\u0026은 유니코드 문자임이 분명합니다.+스트림 맵을 텍스트 편집기로 붙여 넣습니다. 그리고 콤마 문자 하나를 검색합니다. 처음 발견된 콤마를 기준으로 공백을 입력해 값을 위, 아래 두 덩어리로 떼어 냅니다. 추출해 낸 윗부분 덩어리의 처음은 ''itag=XX%%\u0026%%sig=XXX...'' 와 같이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\u0026은 유니코드 문자임이 분명합니다.
 <code python> <code python>
 print unichr(0x26) print unichr(0x26)
project/youtubedownload.txt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14/10/09 21:24 저자 127.0.0.1

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